FOMC, BOJ 이벤트도 끝나고,
9월 금리 인하 전
마지막 포트폴리오 구축 기회이지 않을까 하는 시점입니다.
일단
바이낸스 보고서를 봐도 그렇고,
기관ETF 관심도도 그렇고
비트코인 및
비트코인 생태계가 주목을 받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블랙록 CIO 는
모델 포트폴리오에 BTC, ETH ETF 를 배분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으며,
올해~내년 정도에 반영될 거라고 언급했습니다.
패시브 자금 유입 가능성을 봤을때
비트코인이 압도적으로 좋아보이고,
이더리움도 조금은 수혜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기관 자금 특성상,
단기 매매를 하지 않을 것임을 생각할 때,
그리고 비트코인이 금융자산으로 인정받아서
이 세계에 투자하는 사람들은
비트코인을 단기매매하는 사람들보다
장기매매하는 사람들이 점차 많아짐을 고려해볼 때,
비트코인 스테이킹 및 리스테이킹 분야가
조명을 받을 것 같습니다.
* 비트코인 스테이킹 : BB(바운스비트), CORE, BABYLON(아직 TGE전)
BABYLON 은 최근에 바이낸스에서 8월 부터 이벤트를 진행하는 것 같더라구요.
얼마나 흥행하는지 지켜볼 예정입니다.
+ 추가로
- AI 분야
- DEPIN (FIL 코인 등)
- ERC 20 생태계 중 BASE CHAIN 의 AERO (DEX)
- GAMEFI 의 인프라인 RON 과 IMX
- 온체인 분석 ARKM (이 프로젝트는 펀더멘털은 좋으나 HYPE을 받기엔 좀 어려울 것 같은..)
- ZRO (투자사가 빵빵함. 사실장 프로젝트 자체의 차별성은 없으나, BACKER의 힘인지 관심을 많이 받고 있음)
- MKR (엔드게임으로 현재 2백만원에 달하는 코인의 액면분할 예정. 이것도 이번주에 설명회 느낌의 온라인 방송을 하는것 같았음)
이정도 프로젝트를 관심갖고 있는데,
각 프로젝트별로 자금배분을
동일비중으로 할 것인지,
비중을 싣는 분야를 특정할 것인지가 고민입니다.
+ 저는
차트상 거래량이 계속 나오고,
매집의 흔적이 보이는 프로젝트에 한해서
자금을 투입하려고 합니다.
알트코인은..
언제나 위험자산이므로....
베팅의 관점에서 투자를 해야됩니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에 또 침체가 오면 베팅할 종목 SVIX (1) | 2024.08.14 |
---|---|
Grayscale 의 AI fund(ft. FIL, NEAR, RNDR, LPT, TAO) (1) | 2024.08.02 |
비트코인 스테이킹 코인(투자후보) 리서치 : 바운스비트(bouncebit, bb) (2) | 2024.07.26 |
비트코인 스테이킹 코인(투자후보) 리서치 : 바빌론(babylon) (0) | 2024.07.24 |
알트코인 매집을 시작한다 - 눈여겨볼 프로젝트 : 비트코인 스테이킹. (2) |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