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단테 영상이다.
브릿지 워터(레이달리오가 있던)에서는 이번 주가 상승이 찐반이 아니라고 본다.
결론은,

CPI 가 꺾이려면 서비스 분야 임금상승률이 꺾여야 하는데
그러러면 소비가 꺾이고, 실업률이 올라야 한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GDP 가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실업률이 오르려면 소비가 임금보다 낮아야 하는데,
현 데이터 기준으로 소비가 5%는 더 빠져야 된다.
실업률이 목표치까지 오르면 기업 이익은 -20% 빠지게 된다.
-> 이렇게 되면 주식시장이 하락할 수 밖에 없다.
=> 만약에 위 시나리오대로 안되면? 연준이 되게 만들것이다.
라는게 브릿지워터 쪽 시각이다.
현재 주식시장 외에 증권가에서도 동일하게 바라본다고 들었다.
(한번 더 빠져야된다는게 중론. 이익 망가질 것이라고 예상하는게 중론.)
켄피셔 시각과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들고 왔는데
사실 거시경제 분석이 투자 수익에 직결되지는 않지만
(개별기업분석 후 밸류가 싸다고 느낄때 투자하는게 정도지만)
어쨌든 시장이망가지면 살아남을 수 있는 주식이 거의 없으므로
(횡보만해도 개별주는 올라가겠다만)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이와 같은 시각도 있다는 점을 유의하고자 한다.
다만 나는 긍정적으로 마켓을 바라보고자 하는 사람이기때문에
그리고 마켓에는 정답이 없고 일정한 룰도 없으며 어떤 특정한 기관의 예상대로(켄피셔든 브릿지워터든) 전개되는 측면은 더더욱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리스크관리 측면에서만 알아두려고 한다.
하락에는 대비하되, 개별기업 탐색은 계속 할 것이다.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의 말을 듣지 말고 대출 증가율을 봐라(켄피셔) (0) | 2023.02.05 |
---|---|
CHAT GPT 사용해보기(충격적인 답변 속도) (2) | 2023.02.05 |
US LEI 11월 감소 (0) | 2023.01.15 |
투자자산운용사 합격! (0) | 2022.12.14 |
P2E 앱(Wild Cash)-게임하며 돈벌기(바이낸스 런치패드) (0) | 2022.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