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실리콘밸리은행 파산당시 블로그에 쓴 글
https://blog.naver.com/bm3231/223041796415
이때는 아주 공포스러웠는데
미정부 발빠른 대응으로 공포 진정되었다.
실리콘밸리은행이 폐쇄되었다.
https://www.kcif.or.kr/front/board/boardView.do?intSection1=2&intSection2=5&intReportID=50511
국제금융센터
ㅁ [현황] 최근 벤처캐피탈 및 기술스타트업 전문은행 Silicon Valley Bank가 유동성 위기로 주가가 급락한 가운데 미국 금융당국이 은행을 폐쇄하기로 결정 ㅁ [배경] SVB의 파산은 △고금리 충격
www.kcif.or.kr
국제금융센터에서 현황을 정리해주었다.
ㅁ [현황] 최근 벤처캐피탈 및 기술스타트업 전문은행 Silicon Valley Bank가 유동성
위기로 주가가 급락한 가운데 미국 금융당국이 은행을 폐쇄하기로 결정
ㅁ [배경] SVB의 파산은 △고금리 충격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 △고객의 대규모 예금인출
△직전 가상화폐 전문은행 파산 영향 등에 기인
ㅁ [파급영향] 이번 SVB 파산 사태가 미국 내 은행산업 및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이나, 구조적으로 취약한 일부 소형은행들은 물론 벤처캐피탈 산업,
해외 은행권 외에 연준의 통화정책 향방 등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 상존
ㅁ [종합의견] 최근 캘리포니아州 내 중소은행들의 잇따른 유동성 불안 사태는 자금조달과
투자가 편중된 일부 은행만의 문제일 수도 있음.
다만, 경제 및 금융 불확실성이 재차 확대될 가능성이 큰 만큼 구조적으로 취약한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신뢰도 문제가 산발적으로 재발할 수 있음에 유념할 필요
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2303112177i
"44시간 만에 무너졌다"…SVB 파산에 실리콘밸리 '패닉' [르포]
"44시간 만에 무너졌다"…SVB 파산에 실리콘밸리 '패닉' [르포], 폐쇄 알리는 안내문 붙은 채 문은 굳게 닫혀 책상 뺀 직원 세명 나왔지만 "할 말 없어" 빠져나가 40년 전 설립된 SVB, '벤처 대출' 틈새
www.hankyung.com
전반적인 상황은 위 기사에서 자세히 나오는데, 아래와 같이 요약해보았다.
- 실리콘밸리은행(SVB) 가 무엇?
- 1982년 캘리포니아 설립, 기술/스타트업 전문 은행(스타트업들이 운영자금, 투자금 예치)
- 미국 16대 은행(자산규모 2,090억 달러)
2. 왜 폐쇄?
- 3/8 SVB는 투자했던 장기채권 210억달러 매각해 18억달러 손실 발생 사실 발표(고객 예금 인출 대응 위해 현금확보 차원) -> 이 손실 메우기 위해 22억 5천만달러 증자 진행 계획 발표 -> 예금인출 가속
- 3/9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예금 인출 심화(뱅크런) -> SVB 금융그룹 주가 60% 하락
- 3/10오전 SVB 폐쇄 발표, 미국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이 '샌타클래라 예금보험국립은행(DINB)'라는 법인을 설립해 SVB가 보유한 예금을 모두 이전받고 자산 매각을 추진할 계획
과연 특수은행만의 이슈로 넘어갈지,
시스템리스크로 확산될지는 두고 볼일인데,
현재 마켓 중론은 특수은행 이슈로 국한시키는 모양새다.
결국 SVB는 고객 예금을 장기채권에 투자했는데,
이 장기채권가격이 갑자기 뚝떨어지는 바람에(기준금리가 급격히 올라서),
그런데 그와중에 고객의 예금인출은 계속되니까 어쩔수없이 급락한 가격에 장기채를 팔아서라도
돈을 돌려줘야 했고, 이 과정에서 손실이 나고, 다시 예금인출이 가속화되고... 하는 뱅크런으로 폐쇄가 되었다.
급격한 금리인상의 역효과 라고 해야될까 은행 자산을 장기채에 너무 많이 투자한 탓이라고 해야할까..
어찌됬건 이로인해 증시도 하락했고, 크립토시장도 다시 하락했다.
특히 SVB에 준비금의 8%를 예치하고 있던 USDC 가 페깅이 깨지는 현상이 발생했다.

USDC 페깅이 0.82까지 갔다가 현재는 0.96 정도로 회복한 모양새다.

USDC 의 준비금 400억달러 중 33억 달러가 SVB에 예치되어있음 - 33/400 = 8.25%
이것만 봐서는 큰 비중은 아니어보이는데..
어떤 증빙된 자료가 아닌 트윗한줄이어서 사실 얼마나 믿어야할지 잘 모르겠다.
(공식 트윗이긴 하지만..)
여하튼
안그래도 22년도 부터 VC 쪽 딜이 많이 줄면서
스타트업이 신규 자금 얻기가 힘들었을텐데
SVB 폐쇄로 있던 자금마저 상당수 손해봐야된다고 하면
규모 큰 스타트업 아니고서야 이 자금난을 어떻게 해결해나갈 것인지...?
이 임팩트는 경제에 어느정도까지 영향을 미칠지 체크해봐야될 것 같다.
결국 미국 정부차원에서 얼마나 도와주느냐에 따라 달린게 아닐까 싶은데..
미 정부가 어디까지 손을 써줄지..?
체크해봐야 될 것 같다.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대형은행들의 FRC 살리기(구제금융?) (2) | 2023.03.24 |
---|---|
CHAT GPT 개발 배경과 의의 - 카이스트 김대식 교수님 (2) | 2023.03.24 |
인생을 당신의 관점에서 살아라(게리 베이너 척) (0) | 2023.03.05 |
미분양과 부동산 시황(너나위) (0) | 2023.03.04 |
BDRY 분석(BDI 지수 ETF) (0) | 2023.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