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Coinbase's Jesse Pollak on Base's Rise as Ethereum's Leading Layer-2

by 투자블로거제니 2025. 1. 2.
반응형

2024.12.02

 

 

 

Coin's crypto project of the year celebration is back, spotlighting the top projects in crypto, including the leading consumer-focused Ethereum layer-2, Base, incubated by Coinbase. Base exploded in 2024 by leveraging Ethereum security, with cheaper transaction fees and faster settlement times to bring millions on-chain. Which nominated project deserves to be crowned crypto's project of the year? You decide! Head to Coinage Media to vote.

코인(Coin)의 올해의 크립토 프로젝트(crypto project of the year) 기념 행사가 돌아왔습니다. 여기서는 코인베이스(Coinbase)에서 인큐베이트(incubated)한, 소비자 중심 이더리움 레이어2인 베이스(Base)를 포함해, 크립토 분야의 최고 프로젝트들을 조명합니다. 베이스는 2024년에 이더리움 보안을 활용하고, 더 저렴한 트랜잭션 수수료와 더 빠른 결제(finality, 문맥 고려하여 의역) 속도를 통해 수백만 명을 온체인으로 이끌며 폭발적으로 성장했습니다. 올해의 크립토 프로젝트로 선정되어 왕관을 쓸 자격이 있는 후보는 과연 어느 프로젝트일까요? 결정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투표를 위해 Coinage Media로 이동하세요.

[Music] Okay, back on Coinage with us today is Base Builder number one, Jesse Pollak, representing Base on the show. Jesse, good to see you, man! Thanks for having me. Glad to be here! Yeah, it's been a while since we had you on, but you know, you and I were at ETHDenver earlier this year.

[음악] 좋아요, 오늘 코이니지(Coinage)에 다시 함께하게 된 분은 바로 베이스 빌더 넘버 원(Base Builder number one), 제시 폴락(Jesse Pollak)입니다. 오늘 이 자리에 베이스를 대표해 나오셨네요. 제시, 만나서 반갑습니다, 친구!
“초대해줘서 감사합니다. 여기 오게 되어 기쁘네요!”
그래요, 마지막으로 함께한 지 좀 됐는데, 알다시피 올해 초에 우리 ETH덴버(ETHDenver)에서 함께했었죠.

To think how far we've come, not just in crypto, but honestly, everything that's happened on Base and with you as well. Dude, it's been a wild year, and congratulations on being one of the crypto projects that we are nominating in our crypto project of the year celebration. I’m curious; I just want to start with kind of how this year’s been for you.

우리가 얼마나 멀리 왔는지 생각해보면, 단지 크립토뿐 아니라, 베이스에서 일어난 모든 일, 그리고 제시 당신에게 일어난 모든 일도 그렇고요. 정말 정신없이 달려온 한 해였고, 올해의 크립토 프로젝트로 우리가 지명한 것에 대해 축하합니다. 궁금한 게 있어요. 우선, 올해 당신에게는 어떤 시간이었는지부터 이야기해보고 싶어요.

What's been the thing that you're most proud of in watching Base explode in 2024? What's it been like for Jesse?

2024년에 베이스가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서, 제시 본인이 가장 자랑스럽게 느낀 점은 무엇인가요? 올 한 해 당신에게 어떤 시간이었나요?

Yeah, well, I think it’s been an exciting year. Um, we came into the year having just launched, and I think we had a lot of momentum, but it was still very early. We weren't quite sure where the year would go, and we're leaving the year, as you know, at this point, the largest L2 in the world, I think pretty rapidly emerging as the largest chain and the best place for developers to build on-chain in the world.

네, 음, 정말 흥미진진한 한 해였습니다. 저희가 올해 초에 막 론칭을 끝낸 상태였는데, 모멘텀은 있었지만 여전히 초기 단계였죠. 이 한 해가 어떻게 흘러갈지 우리도 확신이 없었는데, 이제 연말이 된 지금, 아시다시피 베이스는 세계에서 가장 큰 L2가 되었고, 아주 빠른 속도로 세계 최대 체인, 그리고 온체인에서 개발자들이 빌드하기 가장 좋은 플랫폼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And, um, just so much energy and excitement globally about Base, and so that's been super exhilarating and fun. And, um, it's really only possible because there are thousands, tens of thousands, you know, hundreds of thousands of people all around the world who have started believing in this vision of building a global on-chain economy, um, and believing in a better world where we increase innovation, where we increase creativity, where we increase freedom, and where we all benefit from this next generation of the internet that we're building together on-chain. And so, um, I'm super excited, and it's definitely just still day one.

그리고 전 세계적으로 베이스에 대해 엄청난 에너지와 열정이 쏟아져서, 정말 짜릿하고 재미있었습니다. 이런 일이 가능했던 건, 전 세계 곳곳에서 수천, 수만, 아니 수십만에 이르는 사람들이 글로벌 온체인 경제를 건설하겠다는 이 비전과, 우리가 함께 온체인에서 만들어가는 차세대 인터넷을 통해 혁신을 늘리고, 창의력을 늘리고, 자유를 늘리는 더 나은 세상을 꿈꾸는 데 공감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저로서는 정말 큰 기쁨이고, 아직도 우리는 하루 차(day one)에 불과하다고 생각합니다.

We're in the very, very early days of this kind of global transformation to leverage this new technology platform and this new economy. And, um, what we're focused on is just putting our heads back down and keeping building. Keeping on finding other awesome builders who want to build alongside us.

이 새로운 기술 플랫폼과 새로운 경제를 활용해 전 세계를 변화시키려는 이 움직임은 정말 극초기 단계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집중하는 건, 다시 고개를 숙이고 계속 빌드하는 것, 그리고 우리와 함께 만들어갈 멋진 빌더들을 지속적으로 찾는 것입니다.

Yeah, honestly, it's probably one of the least controversial picks from our community this year to talk about Base, just because there are so many different metrics to dig into. Jesse, in terms of showing the runaway kind of success y'all have had this year, whether it's TVL, which we're looking at now, whether it's users, whether it's all kinds of things, I'm just kind of curious what you're most kind of monitoring in the early days to say, "Look, this is kind of the traction we're excited to see." But I think that this one in particular might mean more. Is there anything that you look at that way? I mean, I think generally the way we think about Base as an economy is that it's really builder-first.

솔직히, 올해 우리 커뮤니티가 뽑은 후보 가운데 베이스는 거의 논란의 여지가 없었어요. 살펴볼 만한 지표들이 너무 많으니까요. 제시, 이번 해에 여러분이 거둔 폭발적인 성공을 보여주는 데 있어서, 예를 들어 TVL(Total Value Locked)이라든지,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사용자 수나 기타 여러 가지 지표가 있겠죠. 초기 단계에서 “보세요, 우리가 기대했던 성장세가 이런 겁니다”라고 보여줄 만한 것을 주로 어떤 관점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특히 중요하게 보는 지표가 있을까요? 제 생각에, 일반적으로 베이스를 하나의 경제로 볼 때, 우린 ‘빌더 우선(builder-first)’이라는 개념을 매우 강조합니다.

The most important thing is, are we giving tools and really enabling builders, whether those builders are developers, creators, or community builders? Are we giving them the tools to build whatever they want to on-chain? And that can be an app, that can be creativity, that can be a community. And so, as we see kind of the growth of developers, as we see the growth of creators, we believe that that's what's then... Going to bring in, um, kind of all the capital, it's going to bring in the users because there's going to be really interesting things to do, um, and so we're really most focused on, um, on builders.

가장 중요한 질문은 “우리가 빌더에게 도구를 제공하고, 실제로 역량을 주고 있느냐?”입니다. 여기서 빌더라 함은 개발자,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빌더 누구든 상관없어요. 그들이 온체인에서 원하는 무엇이든 구축할 수 있는 도구를 우리가 주고 있는지 말이죠. 그것이 앱이 될 수도 있고, 창작 활동이 될 수도 있고, 어떤 커뮤니티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개발자와 크리에이터가 성장하는 모습을 보면, 그 뒤에 자본과 사용자들도 따라오게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왜냐하면 그만큼 흥미로운 일들이 많아지기 때문이죠. 그래서 우리에게는 결국 빌더가 가장 중요한 포커스입니다.

We have an internal ethos, uh, that's really like, you know, like builder first. Like all of us are builders; everyone's a builder. Um, and I think that that really grounds us in making sure that we're actually, you know, building the best experience for all of them.

우리는 내부적으로 ‘빌더 우선’이라는 철학이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빌더이고, 누구나 빌더일 수 있다는 거죠. 이런 철학이 우리를 확실하게 뒷받침해주어서, 우리가 진짜로 모든 이에게 최고의 경험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보장해줍니다.

Yeah, also, I mean, you personally, uh, when we talk about not just being Base's builder number one, but also what you're up to at Coinbase, I need to congratulate you because you were also added to the executive team and also inherited what Coinbase is working on when it comes to the wallet. I feel like the wallet is so integrated into kind of what you guys are trying to do with Base in terms of making it easier and easier for creators and users to come on chain. Um, obviously, we at Quin also witnessed that with our trivia game, super huge success in terms of making it easy for people to play.

네, 그리고 개인적으로도, 제시 당신은 베이스의 빌더 넘버 원일 뿐 아니라, 코인베이스에서도 맡고 있는 일이 있잖아요. 우선 축하드릴 게 있는데, 코인베이스 임원진(executive team)에 합류하셨고, 지갑(wallet) 부문에서도 코인베이스가 추진 중인 작업을 넘겨받으셨죠. 제가 느끼기엔, 지갑이라는 요소가 베이스가 추구하는 목표—즉, 크리에이터와 사용자들이 온체인에 진입하기를 점점 더 쉽게 만드는 것—와 아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희 ‘퀸(Quin, 문맥 고려하여 의역)’ 팀도 퀴즈 게임(trivia game)으로 직접 확인했어요. 사람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한 덕분에 엄청난 성공을 거뒀으니까요.

Um, but now in that role, I mean, as you're working on the wallet, how does that kind of align, I guess, everything you're trying to do with Base with making it easy for people to use it? Bringing costs down, what are you most excited about in terms of pairing all of those things as you move into next year?

그런데 이제 제시가 그 역할을 맡았으니, 지갑 작업을 하면서 베이스가 하려는 모든 일과 “사용자들이 쉽게 쓸 수 있도록 만든다”라는 목표가 어떻게 맞물리는지 궁금합니다. 비용을 절감하는 부분도 그렇고, 내년을 준비하면서 이런 부분들을 결합할 때 당신이 가장 기대하는 점은 무엇인가요?

Yeah, so we think about the Base economy as a flywheel, where we are going to enable builders. Those folks are going to build apps, they're going to build content, and then, on the kind of other side, every people are going to come on-chain to use those apps and to kind of engage with and experience that content. The more great apps we have, the more users that will come and use them; the more users that come, the more people will want to build for them.

네, 저희는 베이스 경제를 일종의 플라이휠(flywheel)로 봅니다. 우리가 빌더들을 지원하면, 빌더들은 앱을 만들고, 콘텐츠를 만들고, 그러면 다른 쪽에서는 모든 사람이 온체인으로 와서 그 앱을 사용하고 그 콘텐츠를 경험하죠. 멋진 앱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사용자가 몰리고,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그들을 위해 또다시 무언가를 만들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아집니다.

The faster we can spin that flywheel, the faster the Base economy is going to grow, and the faster the world's going to move on-chain. So historically, you know, I've really been responsible for the supply side of that, where it's like, how do we give builders great tools? How do we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build great apps? But now, with wallet kind of coming into my remit as well, that's the demand side, right? The wallet is really all about making it incredibly easy for everyday people, for creators, for businesses to come on-chain and use all these products that are being built. And so the thing that it's now enabling us to do is it's...

플라이휠을 더 빨리 돌릴수록 베이스 경제는 더 빠르게 성장하고, 전 세계가 온체인으로 이동하는 속도도 빨라집니다. 지금까지는, 제 관점에서 공급 측(supply side)을 담당해왔습니다. 즉, 빌더들에게 훌륭한 도구를 어떻게 줄까, 어떻게 하면 이들이 훌륭한 앱을 만들게 할까를 고민했죠. 하지만 이제 지갑 쪽이 제 업무 범위에 들어오면서, 그건 수요 측(demand side)에 해당합니다. 지갑은 일반 사용자, 크리에이터, 비즈니스가 정말 손쉽게 온체인에 들어와서 만들어진 제품들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니까요. 그 덕분에 지금 우리가 할 수 있게 된 건...

Enabling us to look holistically across the kind of user journey, um, and think about what we can do to kind of make both sides simpler, uh, so that it's easier to build apps and then it's easier to reach users with those apps. Um, I think that's going to actually really dramatically accelerate the rate at which we can spin this flywheel, and again, the rate at which we can bring the world on-chain. So, that's been super, super exciting for me to just start to see kind of early signs of that working.

사용자 여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서, 양쪽 측면(앱을 만드는 쪽과, 그 앱으로 사용자를 끌어오는 쪽) 모두를 어떻게 단순화할지를 고민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게 실현되면 플라이휠이 돌아가는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고, 그만큼 전 세계를 온체인으로 데려오는 속도도 빨라질 거예요. 이 작업이 잘 돌아가는 초기 징후들을 보고 있어서 개인적으로 굉장히 신이 납니다.

Um, the other thing that's been really exciting about this is, uh, I actually used to be responsible for the wallet. [1]

그리고 이 과정에서 또 흥미로운 점은, 사실 제가 예전에 지갑을 담당했었다는 거죠. [1]

You know, prior to starting base, I led all of the consumer businesses for Coinbase on the engineering side: Coinbase, Coinbase Wallet, Coinbase Pro, back when it was its own separate product. Um, so getting to kind of be responsible for Coinbase's wallet again, uh, it's been a great opportunity to reconnect with a bunch of incredible leaders who've been building the wallet now for many years. Um, I get to be back in the trenches building with them, and I just love working with people on a really long time horizon.

베이스를 시작하기 전, 저는 코인베이스의 엔지니어링 측면에서 모든 소비자 대상 비즈니스를 이끌었어요. 예를 들어 코인베이스, 코인베이스 월렛, 그리고 별도 상품이었던 코인베이스 프로(Coinbase Pro)까지요. 그러다 보니 이제 다시 코인베이스 지갑을 맡게 되면서, 수년 동안 지갑을 구축해온 멋진 리더들과 재회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다시 이들과 함께 현장에서(문맥 고려하여 의역) 빌드할 수 있게 된 건데, 저는 이렇게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람들과 일하는 걸 정말 좋아합니다.

Then, it's been exciting to see how far it has come, um, and how much further we have to go. So, you know, I couldn't be more excited, generally, about just getting to spin this flywheel faster and faster, and build incredible products that work for builders and work for everyday people in the new on-chain economy. Yeah, I want to talk about the big piece of that on-chain economy, which, you know, in the short term, is obviously heavily dominated by memecoins.

그리고 그 지갑이 지금 얼마나 발전했고, 앞으로 얼마나 더 갈 길이 있는지도 확인하게 되어 매우 흥미롭습니다. 그래서 이 플라이휠을 더 빠르게 돌리고, 빌더와 일반 사용자 모두에게 유용한 멋진 제품을 이 새로운 온체인 경제 위에서 만들어나가는 것에 대해, 이보다 더 신날 수는 없죠.

 

네, 저는 온체인 경제를 구성하는 큰 요소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단기적으로 보면, 밈코인(memecoins)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죠.

We can talk about that in a second, but I also want to highlight maybe more real-world use cases. Since, you know, you've been traveling a lot, I was just down in Argentina, seeing kind of the use of stablecoins and how huge that has grown. Uh, and Brian Armstrong actually retweeted one of those use cases that I saw firsthand.

곧 이 부분에 대해 얘기해볼 건데, 현실 세계의 유스 케이스(real-world use cases)도 좀 강조하고 싶어요. 제시 당신이 최근 여기저기 많이 여행 다니기도 했고, 저도 얼마 전에 아르헨티나에 다녀오면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s)의 활용 현장을 직접 봤거든요. 얼마나 크게 성장했는지 알 수 있었죠. 그리고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이 제가 직접 본 그 사례 중 하나를 리트윗하기도 했습니다.

It was cool to see him kind of also excited about stablecoin usage. I was, you know, with an Uber driver and trying to bring him on-chain; it was cheapest to do on Base, so I kind of taught him about how to use stablecoins on Base. Um, but Brian was retweeting this idea, which would be that maybe potentially Uber drivers could get paid through the app.

브라이언이 스테이블코인 사용 사례에 대해 흥분해 있는 모습을 보는 것도 좋았어요. 제가 우버(Uber) 기사를 만나, 그를 온체인으로 데려오려고 했는데, 베이스에서 하는 게 가장 저렴하더라고요. 그래서 베이스에서 스테이블코인을 어떻게 쓰는지 알려주었죠. 그런데 브라이언이 리트윗했던 아이디어는, 어쩌면 우버 기사들이 앱을 통해 급여를 받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내용이었습니다.

Jeremy Aair at USDC was talking about it with DAR. I mean, how far along are we, Jesse, from some of those things being realistic, where people might actually, you know, be able to interact with this and earn in...? Real-time in stable coins, SP in stable coin seems like the Holy Grail. I mean, how do you see that shaping up and maybe becoming more real?

USDC 쪽의 제레미 에어(Jeremy Aair)가 DAR(문맥 고려하여 의역)과 이 부분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니까, 제시, 사람들이 실제로 스테이블코인으로 실시간 급여를 받고, 그걸로 여러 활동을 하게 되는 그런 시나리오가 얼마나 멀리 있다고 보시나요? 실시간으로, 스테이블코인으로 벌고 쓴다는 건 마치 성배(Holy Grail, 문맥 고려하여 의역)처럼 여겨지는데요. 이것이 현실화되려면 어떻게 전개될 거라고 보시나요?

Yeah, so I think that 2023 and 2024 were really about kind of locking in the final pieces of infrastructure to enable these experiences to be really seamless.

네, 제 생각에 2023년과 2024년은 이런 경험이 정말 매끄럽게 작동하도록 하는 마지막 인프라 조각들을 맞추는 시기였습니다.

Those pieces of infrastructure were low-cost block space in the form of layer twos, like Base, which make it really, really cheap to send and to transact on-chain. So, for instance, today, even as Base's throughput has grown like 10, maybe 20x this year, transaction fees are now consistently below sub-cent. So, you know, a fraction of a cent median transaction fee, and that just wasn't the case even a year ago.

그 인프라 중 하나가 바로 베이스 같은 L2 형태의 저렴한 블록 공간입니다. 이를 통해 온체인 전송이나 트랜잭션을 매우 저렴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었죠. 예를 들어, 현재 베이스의 처리량(throughput)은 올해만 해도 10배, 혹은 20배 증가했을지도 모르는데, 그 와중에도 트랜잭션 수수료는 여전히 1센트 이하(sub-cent)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중간값(median)이 센트의 일부에 불과하고, 1년 전만 해도 이런 상황이 아니었죠.

That's been a huge unlock in terms of what's possible and making these products and this economy really accessible to everyone everywhere. The second thing that I think was a piece of infrastructure we needed to build was just better wallet experiences. I think we've done that with Coinbase Wallet.

이는 실현 가능한 것들의 범위를 크게 넓혀 줬고, 이런 제품과 경제를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실제로 활용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두 번째 인프라 조각은 더 나은 지갑 경험을 만드는 것이었다고 생각해요. 코인베이스 월렛이 그런 역할을 했죠.

We've also made huge strides just in the last six to nine months with the smart wallet, which is going to be, you know, at the center of our wallet strategy going... Forward, where we can have a secure, super easy-to-use wallet that doesn't require a passphrase, doesn't require you to memorize all this crazy stuff, or to store it in backup; instead, you just use a biometric, and it just works. I'm excited to see that continue to develop from an infrastructure perspective.

그리고 최근 6~9개월 동안 스마트 월렛(smart wallet) 쪽에서도 큰 진전을 이뤘습니다. 이 스마트 월렛이 앞으로 우리 지갑 전략의 핵심이 될 텐데, 패스프레이즈나 복잡한 암기, 백업 저장 같은 걸 요구하지 않는, 아주 간편하면서도 안전한 지갑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어요. 그저 생체인식 같은 걸 사용하면, 알아서 작동하죠. 이런 인프라 측면의 발전이 계속 이어지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Then the third thing that I think is a piece of infrastructure that's, you know, been built out really materially is, you know, a lot of kind of identity and social infrastructure that has started to emerge on-chain. Whether you're talking about ENS and Base names, or, you know, far social graph, we now have the tools to let apps really know who their users are and to let users share information with apps in a way that's still privacy protecting and lets them kind of engage in a more customized experience. The last two years have really been about making that infrastructure exist.

그리고 세 번째로, 상당히 실질적으로 구축된 인프라가, 온체인에서 생겨나기 시작한 다양한 아이덴티티(신원)와 소셜 인프라라고 생각합니다. ENS나 베이스 네임(Base names), 파(far) 소셜 그래프(문맥 고려하여 의역) 같은 걸 예로 들 수 있죠. 이제 앱들이 사용자가 누구인지 제대로 파악하고, 사용자는 여전히 프라이버시를 보호받으면서도 더 맞춤화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도구가 생겼어요. 지난 2년은 이런 인프라를 만드는 데 집중한 시기였습니다.

You know, we had to do the work to make Base; we had to build the smart wallet and make it just work. We had to, you know, launch Base names and get Foraster out there in the world. I think 2025 is going to be the year where that infrastructure starts to enable these use cases, and we're seeing it. [2]

우리는 베이스를 만들어야 했고, 스마트 월렛을 만들고 그것이 손쉽게 작동하도록 해야 했습니다. 베이스 네임을 론칭하고, Foraster(문맥 고려하여 의역) 같은 것들을 세상에 내놓아야 했죠. 저는 2025년이 바로 이 인프라가 실제 유스 케이스를 완전히 지원하기 시작하는 해가 될 거라고 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미 그런 조짐을 보고 있고요. [2]

Happen right before our eyes. You know, stablecoin payments are growing rapidly globally, on Base and across the entire on-chain economy. You know, emerging social use cases are starting to crop up with things like Farcaster and Zora.

바로 우리 눈앞에서 일어나고 있어요. 전 세계적으로, 베이스에서 그리고 전체 온체인 경제 전반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파캐스터(Farcaster)나 조라(Zora) 같은 것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소셜 유스 케이스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We see more and more games that kind of build in these really seamless wallet experiences and these really sophisticated social graphs to make them more engaging and really meaningful. And use cases, like you're talking about with Uber, are starting to become more of just a normal reality for folks, where it's the fastest, cheapest, easiest way to get paid, or the fastest, cheapest, easiest way to pay someone, is on-chain. So, I expect that to kind of proliferate and go from a small number of things that we all kind of get excited about, because every single time it's like, "Oh man, it's actually working," to the default over the next one or two years.

점점 더 많은 게임들이 아주 매끄러운 지갑 경험이나 정교한 소셜 그래프를 결합해, 사용자들에게 더 큰 재미와 의미를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버 사례처럼, 급여를 받거나 누군가에게 대금을 지불하는 데 있어서 가장 빠르고, 가장 저렴하고, 가장 쉬운 방식이 온체인이 되는 상황이, 점차 일반적인 현실로 자리 잡기 시작했어요. 앞으로 1~2년 안에, 이런 흐름이 소수의 흥미로운 사례를 넘어 기본(default)이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지금은 매번 “와, 정말 되네!” 하며 신기해하지만, 그게 일상이 될 거예요.

Yeah, which will be that it continues to work, or works in more industries and more realities. But I do think, you know, again, in the short term right now, some of this experimentation has really blown up, and it seems like it's starting to blow up now too on Base when it comes to memecoins, and you know, we saw a... A lot of that, in terms of Solana, and I guess you know there's some blowback now in terms of what that space represents for crypto and for Base specifically.

네, 결국 이 방식이 계속 작동하거나, 더 많은 산업과 현실에 적용되겠죠. 하지만 현재 단기적으로 보면, 이런 실험 가운데 밈코인(memecoins)이 정말 크게 유행했고, 지금 베이스에서도 그런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는 듯합니다. 솔라나(Solana) 사례에서 그걸 많이 봤고, 아시다시피 그 영역이 크립토와 특히 베이스에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한 반발(blowback, 문맥 고려하여 의역)도 좀 있는 것 같아요.

Now, Jesse, as you kind of look at it, is there kind of like a, "Look, this is a short-term thing to show what's possible; it's not where we want to be. Those real use cases matter." I mean, how do you look at kind of meme coins being the thing that could potentially, in the short term, be proving out, you know, the transactions and fees costs that you're talking about a lot, but also where Base goes after?

제시, 이 현상을 보면서, “이건 우리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바는 아니지만, 단기적으로는 어떤 가능성을 보여주는 시범 케이스 같은 거다. 우리가 정말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실제 유스 케이스다”라고 보시는 건가요? 밈코인이, 단기적으로는 제시가 말한 트랜잭션과 수수료 부분을 입증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 이후 베이스가 갈 길과는 다른 것인지, 어떻게 바라보시나요?

Yeah, I think it's a yes and. I mean, if you look at the history of the internet, I think you'll see that memes are at the center of Internet adoption and Internet culture.

네, 둘 다 맞다고 생각합니다. 인터넷 역사를 보면, 밈(meme)이 인터넷 보급과 인터넷 문화의 중심에 있었다는 걸 알 수 있을 거예요.

Like, you go back to Reddit, you go back to 4chan, you go back to other social media like TikTok and Instagram. Like, memes are there; they're omnipresent, and they're a thing that people love engaging with because memes are fundamentally about culture and feeling like we're all on the same page, all laughing at the same jokes. So, I think what we're seeing right now with meme coins is the same thing.

레딧(Reddit), 포챈(4chan), 그리고 틱톡(TikTok)이나 인스타그램(Instagram) 같은 다른 소셜 미디어를 떠올려보면, 밈이 늘 있어요. 이건 어디에나 있고, 사람들이 열광적으로 참여하는 요소이죠. 왜냐하면 밈은 근본적으로 문화에 관한 것이고, 우리가 같은 유머를 공유하며 같은 감정을 느낀다는 것과 관련되니까요. 지금 밈코인에서도 똑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거라고 생각해요.

It's literally the same thing. It's still just culture; it's still just people rallying around these. Ideas that are fun, funny, and weird, um, but now it's happening in a new platform on-chain where those memes are starting to have new superpowers.

정말로 같은 원리입니다. 여전히 문화이고, 여전히 사람들은 재미있고, 웃기고, 이상한(weird) 아이디어에 열광하는 거죠. 다만 이제는 온체인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에서 일어나고 있고, 그 밈들이 새로운 ‘슈퍼파워(superpowers, 문맥 고려하여 의역)’를 얻기 시작했다는 점이 달라졌습니다.

They can more directly interact with value, where the kind of originators and creators of those memes can benefit more from the virality of them actually kind of being these cultural shelling points. Um, I think that they're going to continue to be a big part of the internet, and I think they're going to continue to be a big part of the on-chain economy. So, we are excited about supporting them on Base.

이제 밈이 가치(value)와 더 직접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게 되었고, 밈을 만든 사람들이나 크리에이터들은 그것이 문화적 셸링 포인트(문맥 고려하여 의역)가 되는 바이럴(viral) 효과에서 더 큰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저는 밈이 앞으로도 인터넷의 큰 부분을 차지할 것이고, 온체인 경제에서도 마찬가지일 거라 봅니다. 그래서 우리는 베이스에서 이것을 지원하게 되어 기쁩니다.

We're excited about, um, kind of seeing more culture created on-chain and, you know, really seeing on-chain start to become the epicenter of internet culture, because on-chain is creating a new internet that's going to work better for the people who are actually bringing their creativity on-chain. I think memes are just one example of that. Now, at the same time, I think, um, at times you see like it shift more out of culture and more into just like really, really rampant, uh, kind of speculation taken to the extreme, which can lead to bad outcomes.

우리는 온체인에서 더 많은 문화가 창작되고, 온체인이 진짜 인터넷 문화의 중심지가 되어가는 모습을 보는 것에 들떠 있어요. 왜냐하면 온체인이야말로 실제로 창의력을 발휘하는 사람들에게 더 유리한, 새로운 인터넷을 만들고 있기 때문입니다. 밈은 그중 한 사례일 뿐이죠. 물론 동시에, 때로는 문화 영역에서 벗어나 극단적인 투기(speculation)로 치달으며 좋지 않은 결과를 낳는 경우도 있습니다.

And, um, you know, that's not really the Base way. Like, when we talk about Base, um, we always say like we're here to be... Building for the long term, we're here to be solving real problems.

그리고, 음, 그건 사실 베이스가 추구하는 방식이 아니에요. 우리가 베이스를 이야기할 때, 항상 “우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기 있다”라고 말합니다.

Um, and that's what so many, you know, thousands of builders across Base are focused on right now. My, uh, hope, and really what I'm seeing already, is that as memes are coming into Base, there is kind of this effect that the things that are being successful on Base are the ones who are, um, thinking long term, who are figuring out how to, um, kind of leverage that cultural virality, but also do it in a way that's, like, positive and collaborative and forward-looking. Um, and people who are showing up not just to, um, kind of like purely speculate, but to build and to create this global economy that's going to work better for all of us.

그리고 실제로 베이스 위에는 수천 명의 빌더들이 진짜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 바람이자 지금 목격하고 있는 현상은, 밈들이 베이스에 들어오면서, 장기적 관점으로 문화적 바이럴을 활용하되, 긍정적이고 협력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방식으로 해내는 팀과 프로젝트가 성공하고 있다는 겁니다. 단순 투기만을 위해 나타난 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더 나은 글로벌 경제를 구축하려는 사람들이 주목을 받고 있어요.

And so, um, I'm really optimistic about the energy that I'm seeing around memes on Base. I'm, I'm excited to see what it comes, what it turns into in the year ahead.

그래서 베이스에서 일어나는 밈 관련 에너지에 대해 저는 매우 낙관적입니다. 앞으로 1년 안에 이것이 어떻게 발전할지 기대돼요.

Yeah, I think, you know, for us and where we sit, too, I mean, obviously there's nothing wrong with memecoins and speculation as long as, you know, things are happening in a positive direction. And for us, as a own shoe show (문맥 고려하여 의역), it's also been interesting to kind of see that evolve, um, and to have our community continue to grow and play along as well. Um, but Jesse, Base is also the only L2. that we're featuring in our crypto project, the Year celebration.

네, 맞아요. 우리 입장에서도, 일단 상황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흘러가는 이상 밈코인이나 투기 자체가 잘못된 건 아니죠. 우리 (자체 진행) 쇼(own shoe show, 문맥 고려하여 의역) 입장에서도 그 진화를 지켜보는 게 흥미롭고, 커뮤니티가 함께 커가면서 즐기는 모습도 좋습니다. 그런데 제시, 베이스는 우리가 올해의 크립토 프로젝트 행사에서 다루고 있는 L2 중 유일한 존재이기도 합니다.

There's a lot of great projects that did a lot of great things here in 2024, and one of the things that I think, you know, a lot of people in the Solana community have been throwing shade at L2s across the board. Since you're the only one here, it'll just be a broad question for you to talk about kind of the Ethereum thesis. Obviously, Base being a super chain project, there are a lot of other super chain projects out there trying to scale Ethereum.

2024년에 훌륭한 프로젝트가 정말 많았고, 솔라나 커뮤니티 쪽에서는 L2 전체에 대해 비판(throwing shade, 문맥 고려하여 의역)을 하고 있는 걸로 압니다. 여기서 베이스가 유일한 L2니까, 제너럴한 질문을 해볼게요. 이더리움의 전략(Ethereum thesis)에 대해서죠. 분명 베이스는 슈퍼체인(super chain) 프로젝트이고, 이더리움을 확장하려는 많은 슈퍼체인 프로젝트가 존재합니다.

But I guess the question is, how have you kind of pushed back against those detractors or people outside the community saying that, look, L2s have become so fragmented or so value extractive that, like, it's bad for Ethereum? How have you kind of witnessed, to your point on long-term plans, how do you see things shaping up? Ethereum's obviously had an interesting year, but how do you look at the way Base fits into the longer-term roadmap thesis for Ethereum scaling?

그런데 이 커뮤니티 밖에서 “L2가 지나치게 분화(fragmented)됐고, 이익만 빼먹고 있어서 이더리움에 해롭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대응해오셨나요? 장기적 관점에 대한 제시의 생각을 듣고 싶어요. 이더리움도 올 한 해 흥미로운 시간을 보냈죠. 베이스가 이더리움 확장의 장기 로드맵과 어떻게 맞물린다고 보시나요?

Yeah, well, the first thing I'd say is I think that it can be really easy in the kind of industry and on crypto Twitter to get distracted by the noise. I think there's been a lot of noise over the last six to 12 months, and our ethos. With Base and our core team, and our whole ecosystem, it's like ignore the noise and keep building.

네, 우선 첫 번째로 말하고 싶은 건, 이 업계와 크립토 트위터(crypto Twitter)에서는 소음(noise)에 휘둘리기 정말 쉽다는 겁니다. 지난 6~12개월 동안 잡음이 많았죠. 하지만 베이스와 우리 핵심 팀, 그리고 전체 생태계의 철학은 “소음을 무시하고 계속 빌드하자”입니다.

The only thing that matters is: are we building an economy that works for everyone? Are we building products that actually solve real problems for everyday people and businesses? Um, all of the narrative noise is just a distraction, and so that for us is like the primary mandate. It's like talk less, you know, yap less, build more. Um, and so that's the primary ethos that I'm coming at.

진짜로 중요한 건 “우리가 모두에게 이로운 경제를 구축하고 있는가?”, “실제 사람들과 기업들의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을 만들고 있는가?” 이 두 가지뿐이에요. 모든 서사적 잡음은 그저 방해물일 뿐이죠. 그래서 우리가 내세우는 제1원칙은 “떠들기보다 빌드하자”입니다. 이게 제가 일관되게 고수하는 철학이에요.

The second thing that I'll say is, I think that the Ethereum strategy is working. Like, we articulated a few years ago this idea of a rollup-centric strategy in terms of scaling. Today, if you look at throughput, you know, I was just bringing it up on my computer.

두 번째로 말하고 싶은 건, 이더리움 전략이 작동 중이라고 생각한다는 겁니다. 몇 년 전부터, 이더리움은 확장성을 위해 롤업(rollup) 중심 전략을 세웠고, 지금의 처리량(throughput)을 보면 알 수 있죠. 사실 제가 방금 컴퓨터로 확인했어요.

I think we've scaled Ethereum, let me look, like 400x in the last year. Um, through that, uh, yeah, yeah, like we're, oh no, it's not 400x. It's um, 27x in the last year.

지난 1년간 이더리움을 약 400배 확장했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보니 400배는 아니고요, 대략 27배 정도 늘었네요.

We're now doing about 400 transactions or user ops a second. Um, and so that's like incredible progress, and I think we also have a really clear through line to another 10,000x scaling. Um, and whenever you solve one problem, there's always another one.

현재 초당 약 400건의 트랜잭션(또는 user ops)을 처리하고 있고, 이는 놀라운 진전입니다. 또한 향후 10,000배 확장으로 가는 명확한 로드맵도 있다고 봅니다. 그리고 언제나 문제 하나를 해결하면 다른 문제가 따라오기 마련이죠.

And I think with Ethereum now that... We've scaled with all these Roll-Ups. We have some work to do around making it so that, from a user experience perspective, everything just works, and this isn't dissimilar from the internet.

지금 이더리움은 여러 롤업을 통해 확장에 성공했지만, 사용자 경험(UX) 측면에서 모든 것이 ‘그냥 돌아가도록’ 만드는 작업이 여전히 필요합니다. 이건 과거의 인터넷 역사와도 크게 다르지 않아요.

Like, when you looked at the early days of the internet, you also had a bunch of kind of fragmented internets or intranets that weren't that connected together. You had to kind of manage the complexity of traversing between them. That fragmentation didn't go away; you still have different layers of the internet, with ISPs.

초기 인터넷 시절을 보면, 여러 개의 분산된 인터넷 혹은 인트라넷(intranet)이 존재해서 상호 연결이 제대로 안 됐어요. 사용자는 그 사이를 오가느라 복잡함을 감수해야 했죠. 이런 단절은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고, 여전히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 같은 다양한 인터넷 계층이 있습니다.

You still have kind of disconnected systems. But what did change was we built better products on top of the infrastructure that made that completely seamless for the user. So, users don't have to think about any of it; it just works.

여전히 분리된 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우리에게 달라진 점은 그 인프라 위에 더 나은 제품들을 구축해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모든 게 이음새 없이(seamless) 돌아가도록 만들었다는 거죠. 사용자는 아무것도 신경 쓸 필요 없이, 그냥 쓰면 되는 상황이 된 겁니다.

I think that's the phase that Ethereum is in right now, where we have scaled. We've done that in a way that has a long-term runway that can get us many, many orders of magnitude in terms of scaling. Now, we need to solve some of the interoperability challenges that will make it totally seamless for users.

지금 이더리움이 바로 그 단계에 있다고 봅니다. 확장은 이미 이뤄졌고, 장기적으로 엄청난 확장 여력이 있는 방식으로 해냈죠. 이제는 사용자 관점에서 완전한 시몰레스(seamless) 경험을 위해,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The exciting thing about that is, it's not going to be that hard or that far away to solve those problems. You know, I’m... Already looking at the roadmap for Base and for the ecosystem, it's like within three to six to twelve months, it's all going to be kind of in the rearview mirror, and the experiences are just going to work.

흥미로운 건, 이 문제가 그렇게 어렵거나 멀리 있는 과제가 아니라는 겁니다. 이미 베이스와 생태계의 로드맵을 보면, 3612개월 정도면 이런 문제들이 모두 뒤로 밀리고, 사용자 경험은 그냥 작동하게 될 거예요.

So, I'm super optimistic, super optimistic about the path that we're going. And then the last thing that I'll say is, I think it's somewhat ironic, funny, and indicative of the fact that this is all just noise, where you have people who are saying, "Oh yeah, Ethereum L2s are so fragmented; you should come use my new L1 chain that's like totally disconnected from everyone else." Like, what are you advocating for there?

그래서 저는 이 경로에 대해 매우 낙관적입니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이더리움 L2가 너무 분산돼 있으니, 완전히 다른 새 L1 체인을 써라”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건 조금 아이러니하고 우습고, 결국 이런 주장들은 잡음에 불과하다는 걸 보여준다고 생각해요. 그것이 뭘 말해주는 걸까요?

Are you saying that, "Oh no, actually we should have a hundred or a thousand L1s that have no interconnection between them, and no shared roadmap, and no strategy for interoperability?" Or are you just saying, "Actually, everything's going to fit into your L1, and like you don't want to work with anyone else to build the future?" I don't know, I think both of those are kind of myopic perspectives. Like, we are here to build the on-chain economy together.

즉, “아무 상호 연결도 없고, 로드맵도 없고, 호환 전략도 없는 100개, 1,000개의 L1을 가져야 한다”고 말하는 건가요? 아니면 “결국 모든 것은 당신의 L1 체인에 들어맞을 거니, 다른 누구와도 미래를 함께 만들고 싶지 않다”는 건가요? 저는 둘 다 좀 근시안적인 시각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함께 온체인 경제를 만들어나가야 하는 거잖아요.

It's going to require hard work, it's going to require strategy, and it's going to require collaboration. [3]

그러려면 많은 노력과 전략, 그리고 협력이 필요합니다. [3]

That Ethereum's done a really good job of articulating a strategy that can bring many, many people in and can solve a bunch of these hard problems in a really, really rigorous and thoughtful way. So, what I'm most focused on is ignoring all of that noise, putting our heads down, and building the future. I think the results are starting to speak for themselves with Base.

이더리움은 정말 많은 사람을 하나로 모으고, 이 어려운 문제들을 매우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해결하기 위한 전략을 잘 제시해왔습니다. 그래서 제가 가장 집중하는 건 모든 잡음을 무시하고, 고개를 숙여 미래를 빌드하는 거예요. 베이스가 보여주는 결과들이 점차 우리 입장을 증명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Yeah, I would agree with a lot of that. Obviously, too, it's hard to make the argument that there is any kind of value extrac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Base doesn't have a token, which is, I think, an important thing to highlight in regard to the way that all of this is built. But I guess, you know, Jesse, in that kind of roadmap question, there are some people who are like, "Okay, what's the endgame? What's the strategy here, and how does this all fit in when it comes to Coinbase?" You know, right now, I guess technically the sequencer is one question in terms of how Base plans to decentralize moving forward.

네, 저도 대부분 동의합니다. 게다가 베이스는 토큰이 없어서, 어떤 형태로든 가치를 빨아먹는(value extraction) 주체라고 주장하기가 어렵죠. 이 점은 우리가 어떻게 설계했는지 설명할 때 중요한 포인트라고 봅니다. 그런데, 제시, 이런 로드맵 관련 질문 중에는 “그러니까 최종 목표(endgame)가 뭔가? 전략이 뭔가? 그리고 이런 것들이 코인베이스라는 관점에서는 어떻게 맞물리는가?”라고 묻는 사람들도 있어요. 지금으로서는 시퀀서(sequencer) 탈중앙화가 베이스가 앞으로 진행하면서 해결해야 할 질문이라는 점도 있고요.

If there's one thing, it's like right now, there are a few people in the Salonic camp who, to further that point, are questioning, "Is this just Base's endgame? Is Base's endgame Coinbase?" Endgame, now you sit in both camps; you're on the executive team. What's kind of like the idea and thinking around that, in terms of delivering Web 3 ethos, as you just said, as an Ethereum-aligned project versus also Coinbase being a company? Yeah, yeah. Um, so the first thing is, you know, Base has prioritized decentralization from the beginning, and the reason why we prioritize decentralization is because fundamentally, and this predates Base, this goes all the way back to the founding of Coinbase.

지금 솔라나(Salonic, 문맥 고려하여 의역) 진영 일부에서는, “베이스의 최종 목표는 결국 코인베이스의 최종 목표 아닌가? 이 둘이 같은 것인가?”라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해요. 그런데 당신은 두 가지 입장을 모두 갖고 있죠. 임원진에도 속해 있고. 그래서, 이더리움과 보조를 맞추는(Web3 ethos를 구현하는) 프로젝트라는 측면과, 코인베이스라는 회사 측면을 둘 다 고려할 때, 어떤 생각을 하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네, 네. 음,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건, 베이스는 시작부터 탈중앙화를 우선순위에 두었습니다. 우리가 탈중앙화를 우선시하는 이유는 근본적으로—이건 베이스 이전부터 존재한 가치관이고, 코인베이스 창립 시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것인데—글로벌 경제를 구축하려면 탈중앙화 플랫폼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We believe that the only way you can build a global economy is if you build it on a decentralized platform, because if you don't build it on a decentralized platform, inevitably, it will be co-opted by a single corporation or a single country and start shutting people out. We want to build a global economy; we want to build a global on-chain economy that increases innovation, creativity, and freedom, and so we are building that on Base. Base is going to be decentralized because that's the only path that gets us there, and that's been the ethos in the statement from day one of launching Base.

탈중앙화가 아니라면, 결국 하나의 기업이나 특정 국가가 장악해버리고, 사람들을 배제하기 시작하게 될 테니까요. 우리는 글로벌 경제, 즉 혁신, 창의성, 자유를 높이는 글로벌 온체인 경제를 만들고 싶습니다. 그래서 그걸 베이스 위에서 하는 거고, 베이스가 탈중앙화될 거라는 점은 우리가 그 길로 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에, 론칭 첫날부터 선언한 기본 철학입니다.

We've made a ton of really good progress on that over the last year. Um, you know, most recently, we just launched... Fault proofs, which means that now anyone can validate Base, anyone can help secure the chain.

지난 1년간 이 부분에서 많은 진전을 이뤘어요. 가장 최근에는 폴트 프루프(fault proofs)를 출시했습니다. 이걸 통해 이제 누구든 베이스를 검증하고, 체인을 안전하게 지키는 데 참여할 수 있습니다.

Users can permissionlessly exit and enter Base, even if Coinbase decided that it wanted to kind of block something at the sequencer level. That's a huge, huge milestone for the overall decentralization of the chain. It's also a big step forward towards stage one decentralization, which we expect to reach in the next few months.

사용자는 코인베이스가 시퀀서 단에서 무엇을 막으려 해도, 퍼미션 없이 베이스에 들어오고 나갈 수 있어요. 이는 체인의 전체적인 탈중앙화에 있어 엄청나게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앞으로 몇 달 안에 달성하려는 ‘스테이지 1 탈중앙화(stage one decentralization)’로 가는 큰 걸음이기도 합니다.

We're really excited about that, and then from there, we're going to be working towards stage two decentralization. We're working towards sequencer decentralization, and in general, we're just working to make this a really decentralized platform that anyone can build on and anyone can use. So that's the, I mean, that's the TL;DR.

이에 대해 매우 고무되어 있고, 이후에는 스테이지 2 탈중앙화를 향해 계속 노력할 겁니다. 시퀀서 탈중앙화도 추진하고 있고, 전반적으로 누구나 빌드하고 사용할 수 있는 진정한 탈중앙화 플랫폼을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요약하자면 그겁니다.

I think that if you look at the track record of Coinbase, you won't see anything different. Coinbase is the one who went to court for Tornado Cash because we believe in privacy. Coinbase is the one who has been fighting the SEC and making sure that there's actually fair space for people to build in the United States and countries around the world on these decentralized platforms.

코인베이스의 행적을 보면, 다른 길을 걸었다고 볼 수 없습니다. 코인베이스는 토네이도 캐시(Tornado Cash)와 관련해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위해 법정 싸움도 했고,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와 맞서 싸우면서, 미국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탈중앙화 플랫폼에서 사람들이 자유롭게 빌드할 수 있는 공정한 공간을 확보하려 노력해왔습니다.

Brian Armstrong, CEO and founder of Coinbase, he's someone who believes in decentralization more than basically anyone that I've met. Um, and so I think for us, it's mostly just about letting our actions speak for themselves. Um, yeah, we're excited to keep building, keep decentralizing.

코인베이스의 창업자이자 CEO인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제가 만난 인물 중 탈중앙화를 가장 깊이 믿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행동이 모든 걸 말해줄 수 있도록 하는 거죠. 네, 우리는 계속 빌드하고, 계속 탈중앙화를 추진할 겁니다.

To your point on kind of, I guess, plugging all of these things in too, it's been interesting to see some of those moves, Coinbase and CB BTC. Uh, it's a tough one to say, but you know, the base idea of Bitcoin and kind of moving across all of these chains, and the idea, I suppose, of interoperability across other L2s as well. I mean, when you look at that and that idea, is the endgame, I suppose, to just keep making it easier for people to transact, which would require some of those assets to be on base? Is that something that kind of needs to happen for it to be as easy to use, rather than, I guess, using Ethereum as an L1? Like, is there a world in which Coinbase might say, "Hey, look, this is easier for us to run as a company, to just put everyone's assets that they might have with Coinbase on base, because it's cheaper to transact that way," and that way they don't need to use everything else? I mean, is that kind of what could eventually happen here?

말씀하신 대로 이런 요소들을 모두 끼워 맞추는 측면에서, 코인베이스와 CB BTC의 움직임도 흥미로워요. 발음하기가 좀 어렵지만, 비트코인의 기본 아이디어라든지, 여러 체인을 오가는 것, 그리고 다른 L2들과의 상호운용성 같은 것도 생각해볼 수 있죠. 결국 사람들의 거래를 더 쉽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면, 그런 자산들을 베이스에 올려야 할 필요가 생기는 건지 궁금합니다. 이더리움을 L1으로 직접 쓰는 대신, 베이스에 올리는 게 더 쉬운 시나리오가 있는 걸까요? 예를 들어 코인베이스가 “봐라, 우리는 이 방식을 쓰면 트랜잭션이 더 싸니까, 코인베이스가 보유 중인 모든 자산을 베이스에 올리는 게 회사로서 더 낫다”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정말로 그런 일이 일어날 수도 있을까요?

Well... I do think that, like what we're seeing, is that it is way easier, way cheaper, and way more available to put assets on Base than pretty much any other option that you have. Being able to have any asset, including Bitcoin, be sent globally, instantly, and at very, very low cost is a huge superpower. So, I expect that we will see many, many more assets coming on chain on Base.

글쎄요... 하지만 지금 우리가 목격하는 바로는, 베이스에 자산을 올리는 게 거의 어떤 다른 방법보다 훨씬 더 쉽고, 훨씬 더 저렴하며, 훨씬 더 접근성이 좋습니다. 비트코인을 포함해 그 어떤 자산도 전 세계 어디로든 즉시,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보낼 수 있다는 건 엄청난 강점(superpower)입니다. 그래서 저는 베이스 위로 더 많은 자산들이 온체인화될 거라고 예상합니다.

I expect that Coinbase is going to continue to re-platform significant parts of the business on chain on Base because that's the future. It's going to be faster, cheaper, and easier, and it's going to be easier to build experiences that everyone, everywhere, can use. So, I'm really excited about that.

그리고 코인베이스도 비즈니스의 중요한 부분을 계속 베이스 위로 옮길 것 같아요. 왜냐하면 그게 미래이기 때문입니다. 빠르고, 저렴하고, 쉽고,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경험을 구축하기도 쉬워지죠. 저는 이 부분에 대해 매우 기대가 큽니다.

Now, at the same time, when we're doing that, we do not want to create a silo, and this has been another value of Base. Alongside decentralization, the other big value of Base has been this idea of Base as a bridge, not an island. We think about Base as kind of a port of entry for people into the chain economy, and for many people, it will be the first place that they come.

물론 동시에, 우리는 그렇게 하면서도 고립(silo)을 만들고 싶지 않습니다. 이것이 베이스가 가진 또 다른 가치예요. 탈중앙화와 함께, “베이스는 섬(island)이 아니라 다리(bridge)”라는 게 중요한 가치입니다. 우리는 베이스를 많은 사람이 온체인 경제로 들어오는 관문(port of entry) 정도로 생각하고 있고, 실제로 많은 사람에게 이곳이 첫 도착지가 될 겁니다.

For many people, they will hold a lot of their assets there, but then, fundamentally, we need to be able to enable people to transact wherever they want to because the... On-chain economy is going to be massive, and there's going to be things happening on Solana; there's going to be things happening on other L2s; there's going to be things happening on L1. We want to be able to enable people to go and do those things because, at the end of the day, this is about making people's lives better.

또 많은 사람이 이곳에 자산을 대거 보유하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사람들이 원하는 어디에서든 거래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온체인 경제라는 것은 매우 방대해질 테고, 솔라나에도 무언가가 일어날 수 있고, 다른 L2나 L1에서도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으니까요. 결국 중요한 건 사람들의 삶을 더 낫게 만드는 것이므로, 이 모든 걸 지원해야 합니다.

It's about solving problems, and the more access, the more connectivity we can actually create, I think the better off the on-chain economy is going to be, the better off these people are going to be, and the better off Base is going to be. So, we really want to make sure that we're actually doing that work to connect everyone up.

이는 문제 해결에 관한 것이고, 더 많은 접근성과 연결성을 만들수록, 온체인 경제는 더욱 번창하고, 사람들에게도 유익하며, 베이스에도 유리해집니다. 그래서 우리는 모두가 연결될 수 있도록 제대로 된 작업을 하고 싶은 겁니다.

Yeah, to get ahead of that too. Just because, you know, some people might hear that and say, "Aha, see, that's the whole reason," to get ahead of that, just because people keep saying these things. If you look at it, and that's the thing that happens, are there any risks that people might be wrong about when it comes to, "All right, all these assets might just live on Base," and if people don't know any different? Retail users that maybe never even created a wallet, though I will say it's been extremely fun to watch people, how they go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a Web3... Wallet using Coinbase wallet versus just maybe having it in Coinbase.

네, 그런 측면이 있죠. 혹시나 이 말을 듣고 “아하, 이게 다 의도가 있었어”라고 생각할 사람이 있을지도 모르니, 미리 말씀드리고 싶네요.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즉 “모든 자산이 그냥 베이스에만 존재하게 된다면 어쩌지?”라고 걱정하는 관점에서, 사람들이 잘못 생각하고 있는 리스크가 있을까요? 예컨대, 전혀 다른 방식을 모르는 소매 투자자들—아직 지갑을 만들어본 적도 없는—에게는 어떨까요? 물론 저는 사람들이 코인베이스 월렛을 써서 웹3 지갑을 개설하고, 코인베이스 계정에만 자산을 넣어두는 것과 어떻게 다른지를 직접 체험하는 과정을 지켜보는 게 엄청 재밌었습니다만.

I walked my parents through that just two weeks ago, and it's been really fun to see. It's like, oh, this is what this is all about. I mean, kick back on maybe the fears that are there in terms of, oh wow, Base might be vampire attacking the rest of Ethereum. I mean, that's obviously not what's happening here, but how does Jesse kind of talk to those people?

2주 전에 부모님께도 그것을 직접 가르쳐봤는데, 보는 재미가 쏠쏠했어요. “아, 이게 이거구나!” 하게 되더라고요. 그런데 혹시 “베이스가 이더리움 나머지를 뱀파이어 어택(vampire attacking, 문맥 고려하여 의역) 하는 거 아니냐?”라고 하는 두려움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시나요? 물론 실제 그런 일은 일어나고 있지 않지만, 제시는 이런 이야기에 어떻게 대응하시나요?

Yeah, I don't, I definitely don't think Base is vampire attacking Ethereum. I mean, this is the Ethereum strategy; it's scaling via rollups, and Base has brought billions of dollars into the on-chain economy on Ethereum. So, again, I think it's mostly just noise, and there's a lot of people who have a lot of different motivations to try and create noise.

네, 베이스가 이더리움을 뱀파이어 어택한다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습니다. 애초에 이건 이더리움의 확장 전략이고, 롤업을 통한 스케일링의 일환이죠. 실제로 베이스는 이더리움 온체인 경제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자금을 흡수해 왔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런 주장은 그냥 잡음이라고 생각해요. 다양한 동기로 잡음을 일으키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거든요.

The only thing that matters is, are we building great products that are decentralized, that are accessible to everyone, and that solve real problems? So that's what we're focused on, and I think the thing that kind of is guiding us as we do that is this idea of, we want to build great experiences, but as we build great experiences, we want to build on open standards, we want to build open source, and we want to create open. Markets, and you can see this in our actions, right? We, uh, you know, built on the OP stack, not on our own technology stack. That was about using an open standard.

결국 중요한 건 “우리가 탈중앙화되어 있고, 모든 사람에게 개방되어 있으며,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훌륭한 제품을 만들고 있는가?”입니다. 우리가 초점을 맞추는 건 바로 그것이고요. 그리고 여기에 우리를 인도하는 핵심 아이디어는, “우리는 훌륭한 경험을 만들고 싶지만, 그 과정에서 오픈 스탠더드(open standards)를 기반으로, 오픈소스(open source)로, 오픈 마켓(open markets)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우리는 OP 스택(OP stack)을 사용해 베이스를 구축했지, 자체 기술 스택을 만들지 않았습니다. 이건 오픈 스탠더드를 사용하기 위함이었죠.

Um, all of B.org is open source; like, our whole technology stack for Base is open source. Uh, and that's going to actually start to expand to Coinbase Wallet and other products that we build, um, because we think it's really important that people can actually see and run the code that they're using to interact with the on-chain economy. Um, and then if you look at the markets of Base, they are 24/7, 365, globally connected open capital markets, and they're open protocols that anyone can interact with.

그리고 B.org(문맥 고려하여 의역)의 모든 것도 오픈소스이며, 베이스의 전체 기술 스택도 오픈소스죠. 이 흐름을 코인베이스 월렛이나 우리가 만드는 다른 제품들로도 확장하려 합니다. 사람들이 온체인 경제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코드가 실제로 어떤 것인지 보고, 직접 구동해볼 수 있게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이죠. 또한, 베이스 상의 시장을 보면, 24시간 365일 전 세계가 연결된 오픈 자본시장(open capital markets)이자, 누구나 참여 가능한 오픈 프로토콜이죠.

We think that those kinds of themes, those principles of openness, open standards, open source, and open markets are going to make it so that, um, folks have choice, there's consumer choice. Uh, folks can have like sovereignty, and in general, this economy is just going to be stronger because it's, you know, built in a way that everyone can participate.

우리는 이런 개방성(openness), 오픈 스탠더드, 오픈 소스, 오픈 마켓 같은 원칙들이 결국 사람들에게 선택권을 주고, 주권(sovereignty)을 부여하며, 전반적으로 더 강력한 경제를 만든다고 믿습니다. 왜냐하면 모두가 참여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축되기 때문이죠.

And, yeah, it's been—I mean, listen, it's been fun to see you live those, those, uh, ideals basically every day we've interacted. And it's been going back since Ethereum Denver when we were up on stage together. It's been really... Cool to see everything that you've built since then, and by you, I mean the entire Base community, as you represent them today.

그리고 실제로 제시 당신이 이런 이상(ideals)을 일상에서 실천하는 모습을 보는 건 즐거웠어요. 우리가 함께 무대에 섰던 ETH덴버 시절부터 그렇고, 그 이후 당신과, 넓게 보면 당신이 대변하는 베이스 커뮤니티 전체가 만들어낸 모든 것을 보는 건 정말 멋집니다.

J, when it comes to that though, to kind of wrap up and look ahead, what are you most excited about? Because this is the point of the interview that we've, you know, we've been hosting founders and builders across all these ecosystems we're celebrating this year. [4]

제이(J), 이제 인터뷰를 마무리하면서, 앞으로를 내다봤을 때 제시가 가장 기대하는 건 뭔가요? 우리는 올해 기념 행사에서 여러 생태계의 창업자들과 빌더들을 만나고 있는데요. [4]

But what has you most excited about for Base in 2025? What should our viewers, our co-owners here at Coinage, know before they elect to choose the crypto project of the year?

그렇다면 2025년 베이스에 대해 가장 기대하는 건 무엇이고, 올해의 크립토 프로젝트를 뽑기 전, 코이니지 시청자들이 알았으면 하는 점이 있다면 무엇일까요?

Yeah, absolutely. You know, a few things. So one is, I'm really excited about continuing to kind of make the Base economy work for everyone, and that means everyone in every country around the world.

네, 물론이죠. 몇 가지가 있는데, 첫째로,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베이스 경제가 유익하게 작동하도록 계속 만들어가는 점이 정말 기대됩니다.

And so the things that we're doing to enable that is making it so there are really, really great on- and off-ramps that people can enter and exit the on-chain economy seamlessly. Another new priority is that we're focused on making it so every country has their currency on-chain, not just US dollars but every country: Nigerian naira, Turkish lira, you name your country, we want you to have your currency on-chain, and we think that that's really important for... Kind of ensuring that these countries and their citizens and communities can remain sovereign, and for enabling builders to create experiences that really solve real problems for local communities.

이를 위해 우리가 하는 일 중 하나는, 사람들이 온체인 경제를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매우 훌륭한 온램프/오프램프(on- and off-ramps)를 제공하는 겁니다. 또 다른 우선순위는, 모든 나라의 통화를 온체인에 올릴 수 있게 하겠다는 점이에요. 미국 달러만이 아니라, 나이지리아 나이라(Nigerian naira), 터키 리라(Turkish lira), 어느 나라든 그 나라 통화가 온체인에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그것이야말로 각국과 그 시민, 커뮤니티가 주권을 유지하고, 빌더들이 실제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만들 수 있게 하는 핵심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Um, so those two things are really at the center of making the base economy work for everyone. The second thing that we really want to do in 2025 is we want to make base the best place to build as a developer. Um, we're going to do this with things like base name, so you can get identity; smart wallet, so you don't have to worry about any of the wallet complexity; on-chain kit, so you can literally go from zero to a fully blown app in, you know, 30 minutes with no backend; um, and then paymaster, so you can build experiences that just work and don't have a paywall preventing users from accessing them.

이 두 가지가 베이스 경제를 모두에게 유익하게 만드는 핵심입니다. 그리고 2025년에 우리가 정말 하고 싶은 두 번째 일은, 베이스가 개발자들에게 최고의 빌드 환경이 되도록 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 네임(Base name) 같은 기능을 통해 신원(아이덴티티)을 쉽게 얻을 수 있게 하고, 스마트 월렛(smart wallet)으로 지갑의 복잡함을 해소하며, 온체인 킷(on-chain kit)을 통해 백엔드 없이 30분이면 풀 앱을 만들 수 있도록 하죠. 그리고 페이마스터(paymaster)를 통해, 유저에게 Paywall(유료 장벽)이 없는, 그냥 돌아가는 경험을 만들 수 있습니다.

Um, so that bundle of offerings, and then all the other developer tools that the ecosystem is building, those are going to make it really, really simple for developers to build world-class apps. Um, the third thing that we want to do is we want to make base work really, really well for creators. And, you know, this is where coinage comes in.

이런 일련의 기능과, 생태계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다른 개발자 툴들이 합쳐져서, 개발자들이 세계 최고 수준의 앱을 정말 손쉽게 만들 수 있도록 해줄 거예요. 그리고 세 번째로, 우리는 베이스가 크리에이터들에게 정말 좋은 플랫폼이 되게 하고 싶습니다. 여기서 바로 코이니지(coinage)가 관련이 되겠죠.

You know, like if you look at the internet over the last, um, you know, uh, however many years, 20... Years, uh, so much of what makes the internet special is creators who are bringing their content, their videos, their music, their art, uh, into the internet. But right now, the system isn't working for them.

지난 20년 정도 인터넷 역사를 보면, 인터넷을 특별하게 만드는 주요 이유 중 하나가, 자기 콘텐츠, 비디오, 음악, 예술을 인터넷에 가져오는 크리에이터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현재 시스템은 이들에게 제대로 보답하지 못하고 있어요.

They bring their creativity into centralized platforms. Those platforms take 95% of the profits. They're at risk of being deplatformed, they're at risk of losing their fans, losing their followings, if they do something wrong. Like, that's broken.

이들은 창작물을 중앙화된 플랫폼에 올리는데, 그 플랫폼이 수익의 95%를 가져갑니다. 잘못하다간 플랫폼에서 퇴출(deplatformed)되거나, 팬이나 팔로워를 전부 잃을 위험도 있어요. 이건 망가진 구조죠.

And so in 2025, we want to kind of flip that on its head and show creators that when you create on-chain, you're going to earn more, you're going to be able to connect more, and you're going to have more sovereignty, because you're not going to be at risk of being deplatformed, you're not going to be at risk of losing your fans, you're not going to be at risk of losing your followers. And so, making Base work for creators and making on-chain work for creators is the third big priority.

그래서 2025년에는 이 판을 뒤집어서, 크리에이터들에게 “온체인에서 창작하면 수익도 더 많이 가져가고, 더 많은 연결을 만들 수 있고, 더 큰 주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습니다. 여기서는 플랫폼에 의해 퇴출될 위험이나, 팬이나 팔로워를 잃을 위험이 없으니까요. 그래서 베이스가 크리에이터에게 유용하도록, 그리고 온체인 경제가 크리에이터에게 유용하도록 만드는 게 우리의 세 번째 큰 목표입니다.

And then the fourth one is that we got to just keep scaling Base. Because as we make it work for everyone in every country, as we make it really easy for developers to build, as we show creators what's possible, there's going to be so much demand, and if we are not investing in the technological foundation... of Base to make sure that it can scale to keep up with that demand, and to make sure that it continues to progress in terms of decentralization, to preserve that open, global nature of the economy.

마지막 네 번째는, 베이스를 계속 확장(scaling)해나가는 것입니다. 전 세계 모든 사람에게 유용해지고, 개발자가 쉽게 앱을 만들 수 있게 하고, 크리에이터들에게 ‘이런 것도 가능하다’고 보여주면, 수요가 폭발할 겁니다. 그때 우리가 베이스의 기술적 토대를 확충해, 이 수요를 감당하고, 탈중앙화 측면에서도 진전을 이어가며, 이 열린 글로벌 경제의 특성을 보존할 수 있어야 합니다.

Like, something's wrong, uh, and so those are the four things that we're focused on in 2025. I'm super excited to get to build alongside everyone who's watching this, and everyone who's joined the Base economy in the next few years.

만약 그걸 못 하면 문제가 생기는 거죠. 그래서 이 네 가지가 우리가 2025년에 집중하는 분야입니다. 저는 이것을 보고 계신 모든 분, 그리고 앞으로 몇 년간 베이스 경제에 참여하는 모든 분과 함께 빌드하게 될 것을 몹시 기대하고 있어요.

Yeah, I gotta say, man, it's also been really cool. We put our subscriber NFT out, a free trial pass on Base as well. Obviously, you today, I think still Jesse, are the only person who's ever minted live on air with us. So, I mean, you honestly have been putting your money where your mouth is, and your energy, and I can't thank you enough for coming on, man.

네, 정말 멋지다고 해야겠네요. 저희가 구독자 NFT를 발행했는데, 베이스에서 무료 체험 패스 형태로 내놓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제시, 당신은 지금까지 우리 방송에서 실시간으로 민팅을 해본 유일한 분이기도 한 것 같네요. 그러니까 말 그대로, 제시 당신은 늘 언행이 일치하고, 열정과 노력을 쏟아부어 왔습니다. 오늘도 이렇게 나와 주셔서 정말 감사해요.

Honestly, look, it's not up to me; our community is going to vote on this, but I think it's pretty clear that Base has a strong shot at winning this whole thing, and as probably should, because you guys have been crushing it. So, just want to say congrats to you, and thank you again for coming on, man. It means a lot, I know, to our community and me personally, to have you on with us and you taking the time to talk about all this.

솔직히, 최종 결정은 제가 아닌 우리 커뮤니티가 하는 거지만, 베이스가 이 전체 행사에서 상을 받을 가능성이 꽤 높다고 생각해요. 잘해온 게 사실이니까요. 그래서 제시에게 축하 인사를 드리고 싶고, 또 오늘 이렇게 나와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이 얘기를 함께 나눠주신 건 우리 커뮤니티, 그리고 개인적으로 저에게 큰 의미가 있어요.

So, thank you again. Congrats to Bas, great man! Thanks, tune in, have a great day. [Music]. [5]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베이스, 축하합니다, 멋집니다!
“감사합니다, 즐겁게 시청해주시고, 좋은 하루 되세요.” [음악] [5]

반응형